Skip to the content

미세먼지 안전지대는 어디? 서울 실내 공기 질 베스트 3 + 워스트 3

미세먼지가 많은 날 우리는 실내로 대피합니다. 그런데 실내 공기는 어디가 좋을까요? SKT 에브리에어가 서울시 지역별 실내 공기질을 분석했습니다.

서울시 내 실내 공기 질 관리 잘하는 곳 BEST 3
① 어디서나 안심! 영등포구

놀랍게도 대부분의 측정 장소에서 제로(0)에 가까운 낮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수치를 기록하던 곳이 있었습니다. 바로 영등포구입니다. 영등포구는 측정 장소 총 76곳 중 무려 76곳 모두 실내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수준을 우수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었어요. 여기에는 영등포구 주민들의 핫플레이스인 대형 상가, 백화점, 마트, 카페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6곳 중 32곳은 대체로 오후 시간대에 1 상태를 유지했고, 실내 공기가 가장 안 좋은 곳 역시 미세먼지의 경우 37, 초미세먼지의 경우 26에 그쳤어요.

② 관광객들도 안심할 수 있는 이곳! 중구

명동과 을지로, 각종 쇼핑 타운으로 365일 관광객이 끊이질 않는 중구는 어떨까요? 에브리에어 측정 장소 155곳 중 초과 기준을 달성한 곳이 무려 한 군데도 없었습니다. 특히 이 지역은 백화점과 쇼핑타운이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었는데요. 문이 열려있어 미세먼지, 초미세먼지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는 상가 건물 1층에서도 공기 질 수치가 정상이었습니다. 반면 카페나 마트, 슈퍼의 경우 공기가 살짝 좋지 않았지만, 이 역시 미세먼지 26, 초미세먼지 26 수준으로 높은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③ 교통의 중심, 동대문구

교통의 중심 청량리역이 있는 동대문구 역시 69곳 모두 올 클린! 실내 공기질이 훌륭하게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특히 동대문구에 위치한 L사, H사, E사 대형 마트 세 곳 모두 타 지역의 대형마트보다 실내 공기가 깨끗했답니다. 오전, 오후 모두 미세먼지가 나쁘지 않았고요. 동대문구의 어느 백화점 지하 2층 식품 코너는 미세먼지 42, 초미세먼지 39였지만, 이 역시 기준을 초과하지는 않았습니다.

서울시 내 실내 공기 질 관리 아쉬운 곳 WORST 3

그렇다면 상대적으로 가장 아쉬운 결과를 남긴 지역 세 곳도 살펴보겠습니다.

① 부유먼지와 함께 온 미먼지! 강서구

김포공항을 포함하고 있는 지역 강서구는 비교적 실내 공기 질이 좋지 않았습니다. 23곳 측정 결과 백화점 1층과 지하 1층에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수치가 일정 수치 이상으로 나타났고요. 특히 초미세먼지는 기준치의 두 배 이상 초과한 곳이 많았습니다. 무려 기준치의 세 배인 149로 측정된 곳도 있었죠. 이곳에선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그리고 극초미세먼지까지 동시에 많은 수치를 나타냈습니다. 다만, 강서구의 마트, 백화점 등은 건물 내부에서 공사 중인 곳이 많아, 부유먼지와 함께 일시적으로 공기 질이 나빠졌을 수도 있습니다.

② 청춘의 도시인데..? 관악구

서울대입구, 신림, 관악산이 자리한 관악구는 전반적으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수치가 높은 편이었지만, 실질적으로 기준치를 초과한 곳은 2곳이었어요. 다만 조사한 21곳 실내 대부분이 두 자리 숫자들로, 위험 수치들을 웃돌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특히 이런 평균치를 높인 데에는 대형마트의 영향이 컸는데요. 좀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③ 절반은 굿! 나머지는 글쎄? 강북구

서울의 북쪽을 대표하는 강북구는 장소 별로 실내 공기 질의 편차가 큰 편이었습니다. 특히 백화점의 고층일수록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관리가 잘 되지 않았고, 극초미세먼지 수치 역시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실내 장소의 절반 정도는 우수하게 지켰고, 나머지 반은 그렇지 못했는데요. 초미세먼지 수치가 가장 큰 문제였습니다. 전체 77곳 중 12곳이 초미세먼지 기준치 이상을 나타내고 있었죠.

에브리에어는 이렇게 조사했습니다

에브리에어는 국내 최초로 실내 공기 질 측정 데이터 결과를 소개합니다. 에브리에어는 약 6개월간 에어비(Airbee)와 미세먼지 정밀 센서를 들고 서울시 실내 곳곳을 빠짐없이 기록했는데요. 대형마트, 백화점, 아울렛은 물론, 지하에서부터 꼭대기까지 꼼꼼하게 측정했답니다.

참고로 국내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관리를 일반시설의 경우 100, 초미세먼지의 경우 50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물론 위의 데이터는 절대적인 수치가 아닙니다. 한국 표준협회 실내 공기 질 인증제도 측정 기준에 따르면, 실내 공기 질은 미세먼지를 포함한 12개의 측정 기준을 갖고 복합적으로 평가됩니다. 에브리에어의 분석 결과는 참고용으로 살펴보세요.

오늘은 에브리에어가 직접 측정한 데이터로 서울 실내의 공기 질을 살펴봤습니다. 깨끗한 실내 공기 관리를 위해서는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겠죠? 앞으로 에브리에어는 다양한 공기 질 데이터를 집중 분석할 예정이니, 다음 이야기도 꼭 기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