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內 온도 · 습도 · 미세 먼지 · 화재발생 감지…안전성 · 관리 편의성 높여
– 레일온도 · 전차선 장력 감지해 사전 사고 예방 조치
– 부산교통공사, 경전철 사상~하단선과 양산선 ‘스마트도시철도 표준모델’ 도입 검토
최일규 SK텔레콤 공공사업본부장(왼쪽에서 네 번째)과 부산교통공사 권준안 건설본부장(다섯 번째)이 협약 체결 후 부산교통공사 본사 7층 대회의실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 www.sktelecom.com)은 부산교통공사(사장 박종흠)와 함께 첨단 IoT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도시철도를 더욱 안전하게 관리해 나가기로 했다.
SK텔레콤은 부산교통공사와 ‘스마트도시철도 표준모델’ 개발과 실증 사업을 추진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양사는 오는 4월부터 약 2년동안 ‘철도 IoT센서’를 부산 지하철 역사 등에 구축해 실시간으로 시설물을 모니터링한다. 각 센서는 SK텔레콤의 로라(LoRa)망을 활용한다.
IoT 센서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주요 요소는 역사 內 ▲온도 · 습도 ▲미세먼지 ▲화재발생 ▲에스컬레이터 진동과, 열차 지상구간의 ▲레일온도 ▲전차선 장력 등이다.
양사는 ‘스마트도시철도 표준모델’ 이 적용될 경우 철도 안전성과 관리 편의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온도 · 습도 ·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공조시스템을 가동하고, 화재 발생시에도 보다 빠른 안전 조치가 가능해진다. 또,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레일 온도 변화와 에스컬레이터 이상진동 발생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해 사전 사고 예방 조치를 할 수 있다.
양사는 철도통합무선통신망(LTE-R)을 활용해 ▲전원 on/off 장치 ▲지하철 셔터 제어 센서 등 실시간 제어시스템도 개발한다. 기존에는 첫차와 막차 시간에 맞춰 역무원이 수동으로 조명 전원과 셔터를 관리해왔다.
부산교통공사는2022년 개통되는 경전철 사상~하단선과 양산선에 ‘스마트도시철도 표준모델’ 도입을 검토 중이다.
또, 양사는 민관 협력 사업으로 해외시장에 동반 진출하는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다.
SK텔레콤 최일규 공공사업본부장은 “SK텔레콤의 IoT 기술을 통해 부산 지하철이 획기적으로 안전해질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실증 사업을 기반으로 향후 도시 철도에 본격적으로 IoT 기술이 도입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표1] 도시철도에 IoT센서 구축 · 활용시 기대효과
철도 IoT센서 | 기대효과 |
온습도/미세먼지 센서 | 공조시설 연동해 자동 제어 |
화재감지기 | 빛과 열 감지 후 방화셔터 · 스프링쿨러 등 자동제어 |
에스컬레이터 진동 센서 | 평소와 다른 이상 진동 감지 후 사전 정비 |
레일온도센서 | 지상 노출 구간의 레일 온도 상승 감지 후 스프링쿨러 등 작동하여 뒤틀림 방지 |
전차선장력감지센서 | 전차선의 늘어짐과 끊어짐 감지 후 전차선 길이 조절 추를 자동 제어 |
CONTACTS
이 콘텐츠가 SK텔레콤을 이해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었나요?
답변 선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