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시장 진출이 용이한 비동기식과 동기식 병행개발
– 1,233억원의 대규모 연구개발비 투자로 제조업체와 공동개발
– IMT-2000 주도권 확보로 국내 장비산업 보호 및 세계시장 선점
세계적으로 차세대 이동통신 IMT-2000 기술개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CDMA 이동전화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SK텔레콤(사장 趙政男)이 1,233억원의 대규모 개발비를 투자해 제조업체와 공동으로 IMT-2000 상용시스템 개발 계획을 밝혀 국내의 IMT-2000 개발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6일 본사 20층에서 100여 제조업체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IMT-2000 기술개발설명회를 갖고 2002년 2월까지 2Mbps급의 통합형 비동기식 IMT-2000 상용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현 2세대 이동전화와 3세대인 IMT-2000 서비스와의 가교 역할을 위해 2.5세대의 동기식시스템(IS-95C)도 병행 개발할 계획이다.
제조업체와 공동개발로 IMT-2000의 국제적 주도권 확보 및 해외시장 진출
SK텔레콤은 CDMA 이동전화 상용화의 신화를 IMT-2000 기술개발로 연결시킨다는 계획인데, 제조업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IMT-2000 관련 장비 국산화를 통해 국내 통신장비 산업의 경쟁력을 높여 해외시장 진출의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SK텔레콤은 대기업 뿐만 아니라 자금난과 시스템 개발 후 판매처 확보의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에게도 적극적으로 기술개발 용역을 맡겨 이들 육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SK텔레콤은 CDMA 이동전화 상용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이동통신기술개발관리사업단」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최대의 네트웍을 운영하고 있는 SK텔레콤의 망 운영 노하우와, 대기업의 교환기 등의 장비 제조능력, 중소·벤처기업의 애로기술 확보능력을 조화시켜 IMT-2000 시스템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제조업체와 서비스업체의 밀접한 협력관계를 통해 IMT-2000 기술개발 과정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효율적이고 실제 상용화 가능한 시스템 개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1백 20여 명의 IMT-2000 기술인력을 총 동원하고 비동기 설계, 핵심칩, 망연동, 시험검증기술 등 SK텔레콤이 그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확보한 기술을 제조업체에게 100% 오픈하여 대승적인 차원의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IMT-2000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유망 중소 Venture 기업을 육성할 계획인데, ▲대기업의 제조기술과 중소 Venture 기업의 핵심기술이 조화되도록 국내 기술기반을 구축하고 ▲개발된 핵심기술에 대해 IPR(지적재산권)을 확보하고 서비스 상품화에 반영하며 ▲확보된 핵심기술을 이용해 상용시스템의 성능개선 및 신규기능 개발에 지속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제조업체의 상용시스템 개발계획과 밀접한 연계성을 유지하여 시너지를 창출하고 SK텔레콤이 인증하는 핵심기술은 상용시스템에 적용하여 상품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개발대상 장비중 교환기, 기지국, 기지국제어기, 단말기, 방문자위치등록기 등은 대기업과 공동으로, 무선망 엔지니어링 Tool, 기지국 기술, 제어기 기술 등은 중소 벤처 기업 중심으로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통합형 비동기시스템은 해외시장 진출에 유리
통합형 비동기식 IMT-2000 시스템은 동기식 교환망과 비동기식 무선망을 연결한 동기·비동기 방식의 상호 보완형태로, 기존 기술 및 시설활용이 가능해 상용화시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전세계 시장중 80%가 비동기 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전망돼 향후 장비 등의 세계시장 진출에 유리한 방식이다.
한국의 IMT-2000 개발 현황
한국은 현재 한국통신, SK텔레콤, LG그룹 등이 IMT-2000 기술개발에 적극성을 보이며 시험시스템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SK텔레콤은 ‘96년에 비동기방식의 핵심기술인 모뎀 ASIC 칩을 자체개발하여‘97년에 국내 최초, 세계에서 세번째로 128Kbps급, ’98년에 384Kbps급 테스트베드를 개발하여 동영상을 전송하는데 성공했다.
또 핀란드의 노키아, 일본의 NTT와의 공동연구개발 제휴를 통해 핵심기술을 확보해 오고 있다.
한국통신은‘98년 8월 한국통신프리텔과 연계하여 동기식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IMT-2000과 중궤도 위성인 ICO를 연계하여 IMT-2000 및 ICO 복합단말기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는‘99년 5월 동기식 IMT-2000 시스템 실험운영을 통해 최대 384K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확보한 바 있다.
한편 삼성, 데이콤, 신세기통신, 한솔PCS도 전사적 차원에서 추진단을 구성하고 사업자간 컨소시엄 구성을 위한 협의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같은 개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IMT-2000 기술개발은 참여사의 복잡한 이해관계 및 개발관리의 어려움(컨소시엄의 경우), 취약한 기술력과 자금력 등의 이유로 상용시스템과는 거리가 먼 기초기반기술 구현 수준의 IMT-2000 실험모델개발 경쟁에 치우치고 있다는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다.
또 전세계 국가의 80%가 채택할 것으로 전망돼 시장 잠재력이 큰 비동기식 개발 보다는 동기식 개발에 치우쳐 있다.
이같은 상황은 한국은 CDMA 이동전화를 상용화 한 경험에도 불구하고 IMT-2000 기술력은 취약하여 기술개발 경쟁에서 뒤질 경우 자칫 21세기 통신 후진국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낳고 있다.
IMT-2000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 유럽, 일본 등은 대규모 투자, 명확한 개발방향 설정(미국 : cdma2000, 유럽·일본 : W-CDMA), 장비의 실 사용자인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을 주도하는 등 세계 최고의 IMT-2000 기술력을 확보해가고 있다.
한편 CDMA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조원의 수입대체 및 수출 효과, 통신장비 등 관련산업 발전 및 고용창출을 일궈내 IMF의 경제위기 극복 과정에 큰 몫을 담당한 통신산업은, 세계적으로 차세대 통신업계 판도를 가름할 IMT-2000 기술개발 경쟁이라는 또 한번의 시험대에 올랐다고 판단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SK텔레콤은 CDMA 이동전화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고 성공적으로 정착시켜 일약 한국을 통신 선진국으로 도약시킨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 보유 사업자로서, IMT-2000 시스템에서도 세계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해 IMT-2000 시장을 선점하고 서비스 및 장비 분야에서도 한국이 주도권을 잡는데 기여해야 하는 국가적인 사명감을 갖고 이같은 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CONTACTS
이 콘텐츠가 SK텔레콤을 이해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었나요?
답변 선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