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뉴스

광대역 LTE-A]
SK텔레콤, 국내 최초
3배 빠른 광대역 LTE-A
선보였다!
SK텔레콤이 국내 최초로 ‘20MHz+10MHz’의 광대역 LTE-A 기술을 선보이며 3배 빠른 LTE 시대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11월 28일 분당사옥에서 언론 시연회를 열고, 20MHz 대역폭의 1.8GHz 광대역 주파수와 10MHz 대역폭의 800MHz 주파수 대역을 CA(Carrier Aggregation; 이종 주파수대역 묶음)기술로 묶어 최대 속도 225Mbps를 제공하는 3배 빠른 광대역 LTE-A 를 선보였습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10MHz+10MHz 를 묶어 동일대역 20MHz 효과를 내는 CA기술까지 상용화 됐지만, SK텔레콤이 광대역 20MHz 주파수까지 CA 기술로 묶어 최초로 선보인 것이죠.
LTE는 대역폭이 넓어질수록 속도가 더 빨라지지만 기술 표준상 최대 연결 대역폭이 20MHz이기 때문에, 단일 광대역으로는 150Mbps의 속도 이상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CA 기술을 적용해 광대역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묶으면, 이용 대역폭에 비례해 150Mbps 이상의 속도도 제공할 수 있죠.
SK텔레콤이 3배 빠른 광대역 LTE-A 를 상용화하게 되면, 800MB 용량의 영화 한편을 불과 28초면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같은 분량의 영화를 다운로드 받을 경우 3G는 약 7분 24초, LTE는 약 1분 25초, LTE-A는 43초가 소요됩니다. (각 서비스 별 최고속도 기준)
당초 SK텔레콤은 3배 빠른 광대역 LTE-A 기술 개발 시점을 내년 초로 예상했는데요, 올해 11월 말로 시기를 앞당겼습니다. SK텔레콤은 올해 4월 세계 최초 상용망 CA기술 시연에 성공한 데 이어 지난 6월 세계 최초로 LTE-A를 상용화 한 바 있습니다.
표 SK텔레콤 LTE 최초 상용화 역사
시기 | LTE 관련 성과 |
---|---|
2011년 4월 | 국내 최초 LTE 시연 |
2011년 7월 | 국내 최초 LTE 상용화 |
2012년 7월 | 세계 최초 멀티캐리어 상용화 |
2013년 6월 | 세계 최초 LTE-A 상용화 |
2014년 하반기(예상) | 광대역 LTE-A 상용화 |
SK텔레콤은 225Mbps 속도를 지원하는 칩셋이 개발단계에 있어 스마트폰 출시가 예상되는 내년 하반기에는 스마트폰 기반 광대역 LTE-A서비스를 상용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10+10MHz CA를 넘어 20+10MHz CA 시연에 성공함에 따라, 다음 단계인 3band LTE-A 기술 개발에서도 SK텔레콤이 한발 앞서게 되었습니다. 현재 20MHz 주파수와 10MHz 대역에 추가하여 3개의 주파수 대역을 묶게 되면 최대 300Mbps 이상의 무선 다운로드 속도가 가능해집니다.
3배 빠른 광대역 LTE-A 위한 전국 84개시 커버리지 구축 박차
3배 빠른 광대역 LTE-A 전국 서비스에 가장 유리한 고지를 점한 사업자는 SK텔레콤입니다. 광대역 LTE-A 제공을 위해서는 20MHz 폭 광대역 망과 10MHz 폭 LTE 망이 필요한데, 이미 SK텔레콤은 LTE-A와 광대역LTE망 모두를 서비스하는 투-트랙(Two-track) 전략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죠.
SK텔레콤은 2011년 7월 LTE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 한 뒤 2012년 6월 800MHz 대역 LTE 전국망을 구축했습니다. 또 다음달인 2012년 7월 세계 최초로 멀티캐리어 기술을 상용화 하며 추가 LTE 대역(1.8GHz) 망 구축에 가장 먼저 나섰죠.
SK텔레콤은 올해 7월 1.8GHz 기지국을 증설하며 전국 84개시 중심 지역으로 LTE-A 서비스를 확대했습니다. 또한 기존 계획보다 1.8GHz 기지국을 66% 추가 설치하는 등 망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광대역 구축 작업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11월 말 서울 및 수도권 전역에 구축할 예정인 광대역 LTE를 지속 확대해 내년 7월 초 전국의 모든 1.8GHz 기지국을 광대역으로 전환할 예정입니다.
광대역 LTE-A 단말기 출시로 상용화가 예상되는 내년 하반기에, SK텔레콤은 800MHz 대역 및 1.8GHz 광대역 모두 전국 모든 시 단위 이상에서 망을 완비하게 됩니다.
이 같은 SK텔레콤의 투 트랙 전략은 광대역 LTE-A와 3band LTE등 망 진화를 고려해 가장 앞선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포석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Full-HD 4배 UHD 영상 콘텐츠 무선 전송 가능해져
3배 빠른 광대역 LTE-A 는 모바일 기반 영상 콘텐츠 이용 활성화와 모바일 콘텐츠의 초고화질·초고용량화 추세를 더욱 가속화할 전망입니다.
SK플래닛 T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된 유료 콘텐츠 중 VOD 비중을 살펴보면 2011년 17%에서 2012년 30%, 2013년 37%로 급증했는데요, 이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한 영상 콘텐츠 소비의 확산으로 최근 웹이나 모바일 기기 기반의 드라마 제작도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모바일 콘텐츠도 고용량화 되면서 Full-HD 수준의 영상 콘텐츠는 물론, Full-HD의 4배에 이르는 모바일 UHD 드라마도 제작되고 있죠. 음악 콘텐츠도 멜론이 무손실 음원(FLAC)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고용량화 되는 추세입니다.
콘텐츠 고용량화 추세에는 모바일 기기 뿐 아니라 주변 기기를 통해 콘텐츠를 소비되는 경향도 한 몫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TV 혹은 영상 프로젝터와 연결해 대화면으로 즐기고, 고급 스피커를 연결해 고음질 음악을 감상하는 등 스마트폰이 콘텐츠 소비의 허브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죠. 이런 추세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직접 소비하는 콘텐츠보다 더 높은 화질이나 고음질의 콘텐츠가 필요하게 됩니다.
그런데 광대역 LTE-A가 상용화되면 최대 225Mbps의 빠른 속도로 이러한 고용량의 UHD 영상 스트리밍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것이죠~
용량 확대로 IoT(사물인터넷) 등 이종산업 융합 가속화
3배 빠른 광대역 LTE-A 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할 뿐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에서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확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800MHz 및 1.8GHz 대역 총 30MHz 주파수 폭을 모두 이용할 수 있어, 기존 대비 활용 가능한 용량이 50% 확대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향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등 1인 멀티 디바이스 활성화와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등 통신과 이종산업의 융합도 가속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IoT는 농업·에너지·공공 서비스·자동차·교육·업무용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비닐하우스 온도·습도 등을 감지해 자동으로 통풍 및 급수를 제어하는 ‘스마트 팜’ ▲온도/점등 조절 등을 통해 빌딩의 소비 에너지를 효율화하는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센서 인식을 통해 비어있는 공용 주차 공간을 지도로 알려주는 ‘공공 정보 안내’ 등으로 IoT가 확대되고 있죠.
미국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2030년 까지 300억개의 사물들이 인터넷과 연결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이에 따라 관련 트래픽도 급증할 전망입니다.
SK텔레콤은 3배 빠른 광대역 LTE-A 와 같은 네트워크 기술의 진화가 디바이스·콘텐츠·융합산업 등 생태계 진화를 촉진하고, 이로 인한 모바일 트래픽 증가가 다시 네트워크 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3배 빠른 광대역 LTE-A 핵심 기술 선제적 확보
SK텔레콤은 LTE-A 핵심기술인 주파수 결합 기술(CA, Carrier Aggregation)외에도 ▲기지국 협력 통신 (CoMP, Coordinated Multi-Point) ▲차세대 주파수 간섭 제어 기술(eICIC, enhanc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등 LTE-A 핵심 기술 구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기지국 협력 통신 기술을 12년 1월 이미 상용화 했고, 차세대 간섭 제어 기술도 내년 중 개발을 완료해 적용할 계획입니다. 또 업로드용 CA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해 조기 적용할 계획입니다.
SK텔레콤은 LTE 도입 시점부터 LTE-A, 광대역LTE, 광대역 LTE-A는 물론 다음 단계인 3 Band LTE-A 진화까지 고려한 장비 기술 적용 및 관련 핵심기술 개발을 병행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
이날 시연회에서 SK텔레콤은 ▲3배 빠른 광대역 LTE-A속도 ▲광대역 LTE-A 필드 속도 테스트 ▲광대역 LTE-A를 통한 초고화질 UHD 영상 스트리밍 등을 선보였다. 이날 시연회에는 삼성전자 · 에릭슨LG 등 장비제조사도 함께 참여했습니다.
SK텔레콤 최진성 ICT기술원장은 “SK텔레콤은 2세대 CDMA 세계 최초 상용화 이후 무선 네트워크를 선도해왔다”며 “3배 빠른 광대역 LTE-A 를 최초로 시연하는 쾌거를 이룬 만큼225Mbps는 물론 300Mbps급 속도 시대도 앞당길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표 무선 데이터 통신 진화 역사
통신규격 | CDMA 1X | WCDMA | LTE | LTE-A | 광대역 LTE-A |
---|---|---|---|---|---|
국내 상용화 시기 | 2000년 10월 | 2006년 5월(HSDPA) | 2011년 7월 | 2013년 6월 | 2014년 하반기 |
다운로드 속도 | 153.6Kbps | 14.4Mbps | 75Mbps | 150Mbps | 225Mbps |
업로드 속도 | 153.6Kbps | 384Kbps | 37.5Mbps | 37.5Mbps | 37.5Mbps※ |
※ Uplink CA 기술 적용 시 업로드 속도 2배 증가 가능 (최대 75Mb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