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the content

[넓고 빠른 광대역 LTE-A] #5. 광대역 LTE-A면 뭐가 좋은데? 사물인터넷의 비약적 발전 기대

넓고 빠른 LTE-A

[넓고 빠른
광대역 LTE-A]
#5. 광대역 LTE-A면
뭐가 좋은데?
사물인터넷의
비약적 발전 기대

스마트폰으로 데이터를 다운 받거나 업로드 할 때 사용자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요소는 바로 두 가지! 속도와 용량인데요. 이같은 고민을 단번에 날려줄 해결책은 바로 SK텔레콤의 3배 빠른 광대역 LTE-A! 이제 SKT 광대역 LTE-A로 데이터 전송은 더 빠르게~ 용량은 더 크게! 이용해보세요. ^^

데이터 용량 확대로 IoT 등 이종산업 융합 가속화

3배 빠른 광대역 LTE-A 는 데이터 전송 속도 개선 뿐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에서 수용할 수 있는 용량 확대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800MHz 및 1.8GHz 대역 총 30MHz 주파수 폭을 모두 이용할 수 있어 기존 대비 활용 가능한 용량이 50% 확대되기 때문이죠. ^^

이에 따라 향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등 1인 멀티 디바이스 활성화와 IoT(Internet of Things, 사물간 통신)등 통신과 이종산업의 융합도 가속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IoT는 농업 · 에너지 · 공공 서비스 · 자동차 · 교육 · 업무용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비닐하우스 온도·습도 등을 감지해 자동으로 통풍 및 급수를 제어하는 ‘스마트 팜’ ▲온도/점등 조절 등을 통해 빌딩의 소비 에너지를 효율화하는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센서 인식을 통해 비어있는 공용 주차 공간을 지도로 알려주는 ‘공공 정보 안내’ 등으로 IoT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2030년 까지 300억개의 사물들이 인터넷과 연결될 것으로 전망했는데, 이에 따라 관련 트래픽도 급증할 전망입니다.

SK텔레콤은 3배 빠른 광대역 LTE-A 와 같은 네트워크 기술의 진화가 디바이스 · 콘텐츠 · 융합산업 등 생태계 진화를 촉진하고, 이로 인한 모바일 트래픽 증가가 다시 네트워크 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가 정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