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the content

SK텔레콤, 지갑이나 스마트폰 꺼낼 필요 없는 ‘BLE 페이먼트’ 기술 개발 – T뉴스

T뉴스

SK텔레콤,
지갑이나 스마트폰
꺼낼 필요 없는
‘BLE 페이먼트’ 기술 개발

기존의 결제 방식보다 ‘더욱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결제가 가능한 신개념 모바일 기반 결제 솔루션이 나왔습니다.

‘BLE 페이먼트’, ‘BLE 전자카드’로 ‘더욱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결제 가능!

SK텔레콤이 기존의 결제 방식과는 달리 결제기기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결제가 이뤄지는 ‘BLE(블루투스 저전력, Bluetooth Low Energy)* 페이먼트’ 기술과 여러 장의 플라스틱 카드를 한 장의 전자카드에 넣어 관리하는 ‘BLE 전자카드’ 등 2개의 새로운 모바일 결제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BLE
Bluetooth 4.0부터 나온 핵심 기술로, 저전력으로 장기간 근거리 무선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BLE 페이먼트’는 결제를 위한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폰을 소지한 채 ‘POS(Point of Sales)’ 기기에 다가가서, 사용금액을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결제가 가능토록 하는 기술입니다.

특히 BLE 통신 기반으로 스마트폰과 POS 기기 간 결제 정보를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게 설계되어 있으며, BLE 통신이 가능한 범위 안에서 결제가 가능합니다. 이 같은 이점을 활용하면 고객이 앉은 자리에서 결제를 진행하는 등 매장 안 어디서나 자유롭게 결제를 진행할 수 있죠.

또한, 기존 POS 기기나 키오스크(KIOSK)와의 연동은 USB 타입의 BLE 결제 ‘동글(Dongle)’을 연결하는 것만으로 가능해 쉽게 서비스 도입이 가능합니다.

SK텔레콤은 ‘BLE 페이먼트’의 도입으로 매번 지갑에서 신용카드를 꺼내거나, 스마트폰에서 앱을 구동시켜야만 하는 기존의 결제 방식을 최대한 간소화시키는 만큼 소비자 편의 제고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 중입니다.

SK텔레콤이 개발한 또 다른 기술은 ‘BLE 전자카드’인데요. ‘BLE 전자카드’는 사용 중인 여러 장의 플라스틱 카드를 기존 카드와 동일한 형태의 전자카드 하나로 통합해 관리하는 것입니다.

SK텔레콤이 개발한 ‘BLE 전자카드’는 수십 장의 플라스틱 카드 정보를 수록할 수 있으며, 10개까지는 단축 버튼을 통해 사용할 카드를 바로 선택한 후 탑재된 IC카드를 통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개발되었죠.

특히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BLE 기술을 활용해 앱세서리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만큼 전자카드 분실 시 스마트폰에서 추가적인 결제를 차단하는 등 효율적 카드 관리가 가능합니다.

‘BLE 페이먼트’와 ‘BLE 전자카드’는 빠르면 내년 상반기 상용화가 가능할 전망입니다. 또한, 두 기술 모두 POS 기기나 스마트폰이 퍼져있는 국가일 경우 손쉽게 적용이 가능한 만큼 업계에서 기술 선도는 물론 글로벌 시장 공략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SK텔레콤은 평가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 한남석 IT기술원장은 “’BLE 페이먼트’, ‘BLE 전자카드’ 기술의 개발을 통해 소비자분들의 결제생활이 한결 편해지길 기대한다”며 “SK텔레콤은 최신 ICT 기술을 결합한 혁신적인 결제 방식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모바일 페이먼트 시장의 글로벌 테크 리더십을 이끌어나갈 것이다”라고 밝혔습니다.

※ 위 포스팅은 발행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발행일 이후 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니, 발행일이 많이 경과된 경우 블로그 내 검색을 통해 최신 글을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