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the content

[팩트북] 제1장 SKT at a glance, 한눈에 보는 SK텔레콤

개요

SK텔레콤은 유무선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는 초연결 기술에 AI를 더하여 고객을 이롭게 하는 ‘AI 컴퍼니(AI Company)’로 도약하고 있다.

SK텔레콤은 2022년 유무선 통신, 미디어,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아이버스(AIVERSE)*, 커넥티드 인텔리전스(Connected Intelligence)의 5대 사업군을 통해 ‘SKT 2.0’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유무선 통신 인프라와 AI 및 ICT 경쟁력을 기반으로 고객과 구성원, 이해관계자를 위해 지속 가능한 미래 가치를 창출하며 고객의 삶을 새롭고 풍요롭게 만드는 ‘AI 컴퍼니’로 진화하고 있다. SKT는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사회 ∙ 경제 발전 및 인류의 행복에 공헌하며, ‘글로벌 ICT 리더’로서 미래를 선도해갈 것이다.

* AI와 Universe의 합성어. AI와 메타버스, 구독 경제(T우주)까지 포괄하는 서비스

CEO 소개

CEO 소개

2023년을 AI 컴퍼니로 가는
여정에서 도약과 전환
한 해로 만들어갑시다

유영상 CEO

2023.01.02 신년사

유영상 CEO

유영상 CEO 이미지 [더 보기]

주요 경력
2014년 SK C&C 사업개발부문장
2015년 SK주식회사 사업개발부문장
2017년 SK텔레콤 전략기획부문장
2018년 SK텔레콤 코퍼레이트센터장
2019년 SK텔레콤 MNO 사업부장
2021년 SK텔레콤 사장(현재)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학석사
워싱턴대학교 MBA

2021년 11월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CEO)으로 취임하여, 기술과 서비스로 고객을 이롭게 하는 글로벌 AI 컴퍼니로의 도약을 이끌고 있다. 2023년부터는 SK브로드밴드의 CEO도 겸직하고 있다.
AI 기술로 유무선 통신과 미디어, 구독 사업과 같은 기존 핵심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고, 한국어 거대언어모델 기반 AI 서비스 A.(에이닷),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로 AI 시대의 고객 관계 확대에도 힘쓰고 있다.

특히, 도심항공교통(UAM), AI 반도체 사피온 등 미래 성장 분야에서의 과감한 투자 확대, 초글로벌 협력으로, 시장 선점을 위한 도전에 나서고 있다. 유영상 CEO는 2000년 SKT 입사 이후 SKT와 SK C&C에서 신사업 투자 및 미래 먹거리 사업 발굴을 전담해왔으며, 특히 2012년 SK하이닉스 인수 실무를 총괄하는 등 SK그룹 내 신사업 발굴 및 M&A 전문가로 성장해왔다.

2019년부터는 SKT MNO 사업 대표로서 AI · 5G 기반 유무선 통신 리더십을 확고히 하고, 구독 ∙ 메타버스 서비스 등 신성장 사업 발굴을 주도하는 등 대내외적으로 SKT 2.0 시대를 이끌 적임자로 평가받아왔다.

역대 CEO

사업소개

사업소개

유무선 통신,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아이버스(AIVERSE), 커넥티드 인텔리전스 등 5대 사업군을 3대 추진 전략-▲핵심 서비스(Core Biz.)를 AI로 재정의 ▲AI 서비스로 고객 관계 혁신 ▲산업 전반으로 AI 확산(AIX)-으로 혁신한다.

사업소개
① 유무선 통신
고객이 온라인에서 서비스∙제품의 탐색부터 가입, 이용까지 전 과정을 막힘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 전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고객의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전 과정에 AI를 적용하는 ‘AI MNO’를 선보일 계획이다.
② 미디어
IPTV ∙ 채널 ∙ T커머스 등으로 흩어져 있는 미디어 자산을 통합하고, AI 기술을 결합해 고객에게 딱 맞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AI 미디어 플레이어’를 선보일 계획이다.
③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SKT는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전용회선, 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의 6대 핵심사업을 중심으로 고객의 AI 전환을 지원하는 ‘AI 엔터프라이즈(AI Enterprise)’로 업을 재정의했다.
④ 아이버스(AIVERSE)
A.(에이닷), T우주, 이프랜드(ifland) 등의 AI 기반 서비스들에 새로운 기술과 콘텐츠를 적용해 AI 서비스와 고객의 관계를 보다 밀접하게 만들고자 한다.
⑤ 커넥티드 인텔리전스(Connected Intelligence)
SKT는 UAM 서비스 사업자로서 글로벌 업체와 초협력을 추진하고 예약, 탑승, 비행, 지상 교통까지 엔드 투 엔드(end-to-end) 통합 서비스 구축을 통해 미래 혁신을 가속하고 공간 제약을 초월하는 메타 커넥티비티를 구현해 나갈 예정이다. 국내 UAM 상용화 기반 구축을 시작으로 로봇, 자율주행, AI 영상진단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와 영역에서 미래 사업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실적

실적

SK텔레콤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2년 연간 매출 17조 3,050억 원, 영업이익 1조 6,121억 원을 기록했다. 유무선 통신을 중심으로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등
전 사업 영역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전년 대비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3%, 16.2% 증가했다. 순이익은 SK하이닉스의 지분법 이익 감소 영향 등으로 60.8% 감소한 9,478억 원이다.

SKT는 별도 재무제표 기준 2022년 연간 매출 12조 4,146억 원 영업이익 1조 3,211억 원을 기록, 전년 대비 각각 2.6%, 18.6% 성장했다. 별도 순이익은 8,695억 원을 기록했다.

SKB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2.6%, 10.9% 성장한 4조 1,563억원,
3,057억 원을 달성했다. 유료방송 가입자 증가와 B2B 사업의 성장이 주효했다.

2022년 연간 주요 실적

유무선 통신 사업은 공고한 MNO 리더십을 중심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다. SKT는 2022년 기준 5G 가입자 수 1,339만 명을 확보했으며, 5G 이용 고객이 전체 고객의 50% 비중을 상회하는 등 5G를 중심으로 이동통신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SKB도 연말 기준 유료방송 가입자 932만 명을 유치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SKT 10년간 실적

사업분야 및 관계사

사업분야 및 관계사

사업분야 및 관계사

주요 연혁

주요 연혁

  • 2022
    11월고객 / 기술 / 서비스 중심 경영 체계 구축
    05월AI 에이전트(agent) 서비스 A.(에이닷) 공개
    02월5대 사업부 중심 사업 구조 재편
  • 2021
    11월SK텔레콤(존속회사) - SK스퀘어(신설회사) 분할로 SKT 2.0 시대 개막
    08월신규 구독 브랜드 ‘T우주’ 출시
    07월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 공개
  • 2020
    12월모빌리티 전문회사 ‘티맵모빌리티’ 출범
    12월국내 최초로 5G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 ‘SKT 5GX 에지’ 상용화
    11월업계 최초 RE100 가입
    05월세계 최초 양자보안 5G 스마트폰 ‘갤럭시 A 퀀텀’ 출시
  • 2019
    09월지상파와 함께 OTT 서비스 ‘웨이브(Wavve)’ 출시
    04월세계 최초 5G 서비스 상용화
  • 2018
    12월음악 플랫폼 ‘FLO’ 출시
    10월SK쉴더스(舊ADT캡스) 인수
    02월국내 최초 1Gbps급 LTE 서비스 개시
    02월양자암호통신 기업 스위스 IDQ 인수
  • 2016
    09월국내 최초 음성인식 AI 비서 ‘누구(NUGU)’ 출시
  • 2014
    01월세계 최초 3Band LTE-A 개발 및 시연
  • 2012
    02월SK하이닉스 인수
  • 2011
    07월국내 최초 4G LTE 상용화
  • 2010
    02월국내 최초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출시
  • 2008
    09월국내 통신기업 최초 다우존스 지속가능지수(DJSI)에 선정
    09월SK브로드밴드(舊하나로텔레콤) 인수
    02월11번가 론칭
  • 2007
    07월위치 기반 서비스 브랜드 ‘TMAP’ 론칭
  • 2006
    05월세계 최초 휴대전화 기반 HSDPA 상용
  • 2002
    11월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준(June)’ 출시
    05월붉은악마와 ‘Be the Reds’ 공동 캠페인
    01월1.12 신세기 통신 합병 인가 획득
  • 2001
    10월유무선 통합 포털 ‘NATE’ 오픈
  • 2000
    09월세계 최초 CDMA2000 1X 상용서비스 개시
    01월세계 최초 IMT-2000 시험통화 성공
  • 1999
    08월무선 데이터 서비스 ‘n.TOP’ 출시
    07월신세대를 위한 이동전화 브랜드 TTL 출시
  • 1997
    09월이동전화 브랜드 ‘스피드011’ 출시
    08월인터넷 PC 통신 넷츠고 서비스 출시
    03월SK텔레콤으로 사명 변경
  • 1996
    01월세계 최초 CDMA 디지털 이동전화 상용서비스 개시
  • 1994
    01월SK그룹, 한국이동통신 경영권 인수
  • 1992
    08월선경그룹 제2 이동통신 사업권 자진 반납
  • 1989
    08월한국이동통신주식회사 기업 공개
  • 1988
    04월휴대전화 서비스 개시
    04월한국이동통신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04월서울 올림픽 통신 서비스 지원
  • 1984
    03월한국이동통신서비스(주) 설립 및 차량전화 서비스 개시
<팩트북>은 SK텔레콤의 주요 사업 및 서비스의 현황, 역사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획 시리즈입니다. 앞으로 AI, ESG 등 분야별로 공개할 예정입니다. 관련 사업에 대해서 궁금한 내용이 있을 때마다 찾아볼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