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렵게 느껴지는 기술! 쉽게 이해할 수 없을까? <테크 스토리>는 기술에 관한 궁금증을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을 따라가며 풀어보는 기획 시리즈입니다. 기술과 친해져 보세요.
파랑 두건을 두른 외계인 아이콘이 280억 원에 팔렸다. 원숭이 아이콘들은 하나에 수억 원에도 거래가 되기도 했다. 모두 NFT였기 때문이다. 2021년 가장 큰 관심을 모았던 주제들 중 하나였던 NFT에 이렇게 사람들이 열광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질문과 답변으로 궁금증을 풀어본다.
NFT는 무엇인가?
흔히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으로 번역되는 NFT는, 단순하게 말하자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서명이나 인증서’이다. 인증 대상이 앞서 언급한 아이콘이면 NFT 아이콘이고, 유명 예술작품의 사진 이미지라면 NFT 예술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적으로 보면, NFT의 인증 내용은 비트코인 거래처럼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위조가 매우 어렵다. NFT가 비트코인 등의 암호화폐와 다른 점은 NFT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 또는 콘텐츠의 유일성에 관심을 둔다는 것이다. 비유하자면, 비트코인은 만원 권 지폐이고, NFT 예술작품은 화가가 서명한 같은 크기의 미술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NFT 예술작품은 왜 이렇게 비싼 걸까?
앞서 예를 든 외계인은 크립토펑크(CryptoFunk)라는 아이콘들 중 하나이고, 원숭이들은 Bored Ape Yacht Club(따분한 원숭이 요트 클럽) 아이콘들로 NFT 역사의 첫 장에 기록될 수 있는 것들이다. 최초 혹은 초기의 NFT라는 가치를 사람들이 높게 평가했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최초의 트위터 메시지 한 줄도 2021년 3월에 290만 달러(약 34억 원)에 팔리기도 했다. 트위터 창립자 잭 도어시(Jack Dorsey)는 “내 트위터 계정을 지금 막 만들었음”이라는 트위터 메시지를 NFT로 판매했다. 이는 디지털 세상에서는 역사적 사건이라, 그에 대한 소유권도 비싼 가격에 거래된 것이다.
지금까지 가장 비싸게 팔린 NFT 예술작품은 비플(Beeple)의 ‘처음 5천일, 매일(Everydays: the First 5000 Days)’이다. 낙찰가가 무려 6,940만 달러(약 8백억 원) 였으며, 이는 예술품 경매 역사상 세 번째로 높은 금액 이기도 했다. 이 작품은 비플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마이크 윙클맨(Mike Winkelmann)이 2007년부터 매일 하나씩 만든 디지털 아트들을 합친 콜라주의 NFT이다. 이렇게 높은 가격이 매겨진 이유는, 비플이 본격적인 NFT용 디지털 아트를 창작하고 판매한 작가라는 점과 수천 일을 담았다는 것이 NFT의 대체 불가능성, 유일성과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NFT 초기의 역사적 작품이라는 의미에서 오는 가격 프리미엄과 2021년 본격적인 관심 속에 희소성에 대한 투자 의욕이 더해지면서,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싼 NFT 작품들이 나왔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일반 예술작품들에 대해서 오랫동안 감정가가 매겨져 왔던 것에 비추어 볼 때, NFT 작품 가격들이 적절하다고 보기에는 아직 이른 감이 있다. 거기에다가 일반 개인 크리에이터들도 수익 목적으로 NFT 작품 창작에 나서고 있고, 기존 유명 예술작품들의 NFT화도 진행될 수 있어서, 향후 NFT 작품들의 시세가 어떻게 형성될지 예측하기는 어렵다.
NFT를 쉽게 사고 팔려면?
암호화폐 거래소처럼 NFT를 거래하는 곳도 많다. NFT 거래소는 ‘마켓플레이스(Marketplace)’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NFT 마켓플레이스로 오픈씨(OpenSea)가 있다. 오픈씨에서 구매하려면, 가상 화폐 지갑인 메타마스크(MetaMask)를 개설해야 한다. 완료하면 지갑 주소가 생성되고 암호 화폐를 내 지갑 주소로 전송하면 된다.
반대로, NFT 작품을 직접 만들어 판매할 수도 있다. NFT 작품을 판매하기 위해 자신이 제작한 디지털 콘텐츠를 NFT화하는 작업을 민팅(Minting)이라고 한다. 이 결과물을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하면 된다. 실제 콘텐츠 파일을 올리기보다는 보통 제목, 작품 정보와 실제 파일이 저장된 위치의 링크 등 즉, 메타데이터(Metadata)를 NFT화하여 올린다.
NFT 예술작품 다음에 뭐가 뜰까?
NFT 작품의 높은 가격을 전하는 뉴스가 잦아지면서, NFT의 잠재력이 발휘될 곳으로 주목받는 분야가 바로 게임이다. 기존 게임들에 존재하는 무기나 옷, 에너지 자원 등과 같은 아이템들을 NFT화한 게임들이 성공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가장 유명한 NFT 게임 중 하나인 엑시인피니티(Axe Infinity)는 ’21년 약 40억 달러의 매출과 350만 명의 일일 사용자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제작사인 베트남의 스카이 마비스(Sky Mavis)는 그 가치가 30억 달러로 평가되고 있다. 국내 게임사인 위메이드의 미르4도 글로벌 출시되어 첫 전설 아이템이 약 9,600만 원에 거래되었으며, 다수의 국내외 게임업체들이 NFT 적용 게임 제작에 나서고 있다.
가상현실 게임 또는 플랫폼으로는 더샌드박스나 디센트럴랜드가 유명한데, 가상현실 부동산 투자 열풍의 진원지라 할 수 있다. 토지들은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대까지도 거래되었고, 더샌드박스 경우 평당 가격이 서울시 아파트와 같은 수준이라는 뉴스도 들린다. 삼성전자, 구찌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도 디센트럴랜드 등에 부지를 매입하여 쇼룸을 열었다.
이런 가상현실 게임들은 사실상 메타버스 플랫폼이기에, 메타버스의 경제적 기반 중 하나로 NFT가 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예측들도 있다. 또 다른 NFT의 장점으로 혹자는 예술작품의 창작자들에게 더 나은 수익을 가져다 줄 가능성과 게임 제작사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도 노력하기에 따라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하지만, 유튜브와 채널 운영 크리에이터들의 관계에서 경험했듯이, 막대한 수익을 거둘 곳은 결국 거대 플랫폼 업체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NFT는 서명이나 인증서 역할이라고 했던 것을 떠올린다면, NFT는 상표라든지 어떤 증명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사실 블록체인도 거래 증명이나 공증과 같은 역할이 기본이고, 암호화폐는 그런 기록을 남기는 인센티브가 출발이었기에 전혀 새로운 발견은 아닐 것이다.
NFT 거래에 주의해야 할 점은 없을까?
이러한 투자 열풍은 이미 암호화폐에서 겪었던 것 같다. 그러나, NFT는 디지털 콘텐츠나 게임 아이템과 같은 대상들과 결합되어 있고, 메타버스와도 연관되어 있어서인지, 그 용도나 가능성 보다는 현재의 거래 가격 쪽으로 의구심이 향하는 느낌이다.
유의할 점은, NFT는 그 서명을 소유한다는 것을 증명할 뿐, 최초의 창작물이나 실체에 대한 저작권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즉, 서명의 대상이 되었던 대상을 자유롭게 변형하여 재배포하는 것과 같이 저작권에 준하는 권리가 자동으로 NFT 소유자에게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특성상 서명되지 않은 동일한 콘텐츠는 얼마든지 복제되어 인터넷상에 돌아다닐 수 있다. 이런 면 때문에, NFT가 가장 들어맞는 곳은 그 서명과 유일성의 증명이 가장 중요한 팬덤이나 수집가들이라는 견해도 있다. 무엇보다 NFT도 법적 규제를 결국은 받을 것이기에, NFT 거래와 연관된 사업 또는 투자 시에는 해당지역의 법규정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
NFT에 누가 투자하는가?
NFT 시장 거래액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세계 NFT 거래의 90%를 차지하는 오픈씨에 따르면, 2022년 1월 NFT 거래액이 약 35억 달러(약 4조 1천664억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미술, 게임, 엔터테인먼트, 부동산 등 영역도 폭넓다.
아트 경매업계에서는 거대 공룡이자 양대 산맥인 ‘소더비’와 ‘크리스티’가 NFT 미술시장에 진출하며 미술계를 뜨겁게 달궜다. 시작은 2020년 10월 크리스티가 열었다. ‘처음 5천일, 매일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 경매를 진행한 곳이 ‘크리스티’이다. 소더비도 2021년 4월 디지털 아티스트 팍(Pak)의 NFT 작품 ‘더 펀저블(The Fungible) 컬렉션’을 경매하며 NFT 미술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오픈씨(OpenSea)로 대표되는 국내외 주요 NFT 거래소는 12개에 이른다. NFT에 관심이 커지는 만큼 앞으로 거래소는 점점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 가상 자산 거래소 코빗은 지난해 5월 국내 업계 최초로 NFT 마켓을 개설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도 NFT 관련 회사를 설립하고 NFT 콘텐츠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SKT도 NFT를? 어떤 관계가 있을까?
SK텔레콤은 ▲SK스퀘어의 거래소 지분투자 ▲고객 이벤트 ▲기술 확보 등을 통해 새로운 트렌드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해 SK스퀘어는 코빗에 900억 원 규모의 지분 투자를 단행했고, SK텔레콤은 코빗과 협업해 지난 3월 ‘T Day’에 비트코인 럭키드로우 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고객들의 높은 호응을 이끌었다.
SKT는 지난 2월 국내외 강력한 팬덤을 보유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Peaches.’와 협업을 통해 갤럭시S22 – NFT 프로모션을 진행하기도 했다. 갤럭시S22 예약판매에 참여한 고객 중 2,000명에게 SKT와 Peaches.의 NFT를 각각 1개씩 제공하는 등 색다른 이벤트로 각광받았다.
SK텔레콤은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전자증명 서비스인 ‘이니셜’을 자체 개발하여 2019년에 출시한 바 있다. 이니셜을 이용하면 다양한 전자증명서를 단말에 안전하게 저장하고, 필요한 기관에 쉽게 제출할 수 있다. 2020년부터는 이니셜을 정부24와 연동하여 증명제출에 활용하게 하였으며, 2021년부터는 모바일 운전면허증, 코로나 방역 인증도 지원하였다. 이니셜의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분산신원확인) 기술은 사물인터넷으로도 확대되어 건축물 확인 및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프로젝트에도 적용되었다. SKT는 이렇게 축적된 블록체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NFT 관련 신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이니셜’은 블록체인 인프라와 DID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