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the content

병원에서 본인 확인, 모바일신분증으로

추천 콘텐츠

지난 5월 20일, 건강보험 부정 수급을 막기 위해 의료기관 방문 시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하는 정책인 ‘요양기관 본인 확인 강화 제도’가 시행됐다. 앞으로는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여권, 모바일신분증 등으로 본인 확인을 받아야 건강보험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본인 확인을 받을 수 있는 ‘PASS’ 앱의 모바일신분증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한편, PASS 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와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 가입자 수가 1천만 명을 돌파했다. 많은 사람이 믿고 사용하는 안전하고 편리한 PASS 모바일신분증 서비스를 뉴스룸에서 소개한다.

병원 방문 시, 신분증 필수! ‘요양기관 본인 확인 강화 제도’

병원에서 본인 확인 모바일신분증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 5월 20일부터 전국 병 ∙ 의원과 약국에서 요양기관 본인 확인 강화 제도가 시행됐다. 건강보험 자격이 없는 사람이 타인 명의 신분증을 도용해 혜택을 받는 등의 악용 사례를 막기 위한 조치다. 의료기관 방문객은 본인 확인을 받기 위해서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여권, 건강보험 등 사진과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신분증을 제시해야 한다. 혹은 통신사와 은행 등의 본인 확인 서비스로 신분 확인을 진행해야 한다. 단, 만 19세 미만이나 응급환자 등 예외의 경우에는 신분증 대신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본인 확인을 진행한다. 정책 시행이 얼마 되지 않은 현재, 정책 시행을 모르는 환자들이 신분증 없이 병원에 갔다가 신분증을 가지러 다시 집으로 돌아가는 경우도 많았다.

간편하게 본인 확인이 가능한 PASS 앱

요양기관 본인 확인 강화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간편하게 본인 확인을 받을 수 있는 PASS 앱이 주목을 받고 있다. PASS 앱의 모바일신분증 기능을 이용하면 ▲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 ▲스마트티켓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병원에서 본인 확인 모바일신분증으로
병원에서 본인 확인 모바일신분증으로

PASS 앱의 ‘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와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는 기존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신분확인 효력을 가지며, 병·의원에서 진행하는 본인 확인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민센터, 경찰의 운전면허확인, 공직선거 투표장(대선, 총선), 국가자격시험장, 국내 항공 탑승수속 등 공공분야는 물론 편의점, 무인자판기, 영화관, 렌터카 등 민간의 다양한 분야에서 신분확인이나 성인인증 절차에 활용할 수 있다.

이용처에서는 보안화 된 QR 검증 방식을 통해 신분증 유효성과 이름 ∙ 주민번호∙ 주소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신분확인 절차의 편의성이 강화되었고, 1인 1단말 정책에 따라 본인 명의 유심이 탑재된 휴대폰 외에는 등록이 불가해 높은 보안 ∙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병원에서 본인 확인 모바일신분증으로

PASS 스마트항공권 서비스는 PASS 앱으로 신분증과 탑승권을 한 번에 인증받는 서비스로, 현재 제주항공 ∙ 티웨이항공 ∙ 이스타항공 ∙ 에어서울 ∙ 하이에어 ∙ 대한항공 ∙ 진에어 ∙ 아시아나항공 총 8개 항공사에서 이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국내선 비행기 탑승 시 수속에 신분증과 실물 형태의 탑승권이 필요했지만, PASS 스마트항공권 서비스를 이용하면 두 가지를 한 번에 인증받을 수 있어 간편하다. 또한, 면세품 구매 등 항공권 제시가 필요한 순간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병 ∙ 의원은 물론 본인 인증이 필요한 순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PASS 앱은 앱스토어나 구글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한편, PASS 앱은 앞으로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하여 고객의 생활을 더 간편하고 윤택하게 만들어주는 서비스로 진화할 예정이다.

콘텐츠 사용 안내
콘텐츠 사용 시에는 SK텔레콤 뉴스룸 출처 표기를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채널 안내
SK텔레콤 뉴스룸 채널을 추가해 보세요.
추가하기